행정안전
[국회의원 박정현 2025 국정감사 보도자료] 기업ㆍ공공기관 등 사칭 ‘노쇼사기’ 올해만 2,892건 발생... 검거율은 1%도 안돼
[국감] 기업ㆍ공공기관 등 사칭 ‘노쇼사기’
올해만 2,892건 발생... 검거율은 1%도 안돼
- 올해 7월까지 공공기관ㆍ공무원 사칭 노쇼 사기 2,892건...피해액만 414억 원
- 경기도가 577건으로 1위...이어 경북, 서울, 전북 순으로 발생 건수 많아
- 박정현 의원, “서민 울리는 악질 범죄는 반드시 뿌리 뽑아야”
❍ 최근 기업이나 공공기관으로 속여 전화나 메신저를 통해 음식점 등을 예약하면서 해당 가게에서 취급하지 않은 고가의 음식이나 주류를 구매하도록 선결제를 유도한 뒤 잠적하는, 이른바 ‘노쇼 사기’가 기승을 부리고 있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. 그러나 노쇼 사기의 검거율은 1%도 안 되는 것으로 나타나 경찰이 분발해야 하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.
❍ 더불어민주당 박정현 국회의원(대전 대덕구, 국회 행정안전위원회)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'시도경찰청별 노쇼사기 현황' 자료에 따르면, 2025년 1월부터 7월까지 총 2,892건의 노쇼 사기가 발생했다. 피해액만 414억 원에 달해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의 피해가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.
❍ 지역별로 보면, 지난 7개월간 가장 많은 노쇼 사기가 발생한 곳은 경기도였다. 경기도는 7개월간 총 577건의 노쇼 사기가 발생했으며, 79억 원의 피해액이 발생했다. 그러나 검거 건수는 2건에 불과했다. 이어 ▲경북(284건, 38억 원) ▲서울(281건, 33억 원) ▲전북(215건, 35억 원) 순으로 발생 건수와 피해액이 집계되었다.
❍ 한편, 발생 건수 대비 검거율은 상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. 총 2,892건의 발생 건수 중 검거된 건수는 22건으로 전체 0.7%에 불과했다. 특히 서울, 부산, 인천, 울산, 세종, 경기 북부, 충남, 경북, 제주에서는 단 한 건도 검거하지 못했다.
❍ 전문가들은 노쇼 사기 범죄의 검거율이 낮은 이유를 사기가 전화나 메신저로 이뤄지고, 위조 명함이나 신분증 등으로 신분 확인이 어렵다는 점을 꼽고 있다.
❍ 박정현 의원은 “노쇼 사기는 이름 있는 기업이나 공공기관 등으로 속이면서, 높은 매출을 약속하는 형태로 소상공인이 혹할 수밖에 없는 환경에서 이뤄지는 악질 사기”라며 “발생 건수 대비 검거율이 0.7%에 불과해 문제이기도 하지만, 서민을 울리는 악질 범죄의 뿌리를 뽑기 위해서 경찰이 더 성과를 만들어 내야 한다”라고 강조했다. //끝.
※ 참고자료
첨부자료 1 : 시도경찰청별 노쇼사기 현황 (`25.1~`25.7)
첨부자료 1 | | 시도경찰청별 노쇼사기 현황 (`21~`25년 7월) |
◦ 노쇼 사기* 관련, ’25년 1월∼7월 ▴발생건수, ▴피해액, ▴검거건수, ▴검거인원 현황은 아래와 같음
* 기업·공공기관 등을 사칭, 1단계피해자가 운영하는 업체 물품에 대한 주문 後 2단계피해자 물품과 함께 결제한다며 피해자 업체에서 취급하지 않는 他업체의 물품을 대신 구매해달라고(대리구매) 속여 금원을 편취하는 사기 유형
※ 노쇼사기는 ’25년 1월 현황부터 수기로 취합 中이며, 사칭기관별 현황은 별도 관리하지 않아 제공하지 못함을 양해 바람
시·도청 | 발생건수(건) | 피해액(억 원) | 검거건수(건) | 검거인원(명) |
총계 | 2,892 | 414 | 22 | 81 |
서울 | 281 | 33 | 0 | 0 |
부산 | 110 | 10 | 0 | 0 |
대구 | 120 | 19 | 1 | 1 |
인천 | 52 | 6 | 0 | 0 |
광주 | 189 | 30 | 2 | 5 |
대전 | 149 | 28 | 3 | 2 |
울산 | 99 | 22 | 0 | 0 |
세종 | 30 | 5 | 0 | 0 |
경기남부 | 495 | 67 | 2 | 2 |
경기북부 | 82 | 12 | 0 | 0 |
강원 | 202 | 30 | 5 | 60 |
충북 | 76 | 11 | 1 | 1 |
충남 | 209 | 29 | 0 | 0 |
전북 | 215 | 35 | 2 | 3 |
전남 | 132 | 18 | 3 | 4 |
경북 | 284 | 38 | 0 | 0 |
경남 | 117 | 18 | 3 | 3 |
제주 | 50 | 3 | 0 | 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