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2025년 05월 22일 오후14시 전북치유농업협회 면담
- 2025년 05월 22일 오전11시 한국유치원총연합회 전북지회 정책간담회 개최
- 2025년 05월 22일 오전10시30분 전북특별자치도 AI발전협의회 간담회 개최
- 2025년 05월 21~24시 도당2030본부X대학생위원회 전북대학교 건지대동제 안심 귀가 골목골목 프로젝트
- 2025년 05월 22일 박용진 국민화합위원장 전북특별자치도 지원 유세
- 2025년 05월 22일 오후15시 대한불교 조계종 17교구 금산사 정책간담회
- 2025년 05월 22일 오전10시 전북권역 대학생 이재명 후보 지지선언
- 2025년 05월 21일 오후14시 30분 전북특별자치도 사회복지협의회 정책협약식 개최
- 2025년 05월 21일 오후14시 전북특별자치도 사회적경제연대회의 정책협약식 개최
- 2025년 05월 21일 오후13시30분 전북특별자치도 한의사회 정책협약식 개최
- 2025년 05월 21일 오전11시 전북특별자치도 음악단체 정책협약식 개최
- 2025년 05월 21일 오전11시 김부겸 총괄선거대책위원장 전북 경제계 간담회
- 2025년 05월 21일 오전10시 김부겸 총괄선거대책위원장 전북 청년기업인 간담회
- 2025년 05월 20일 20시 전북특별자치도당 선거대책위원회 상임 · 공동선거대책위원장 회의
- 2025년 05월 19일 15시 한국농어촌민박협회 전북지부 정책협약식
- 2025년 05월 19일 14시 전북특별자치도 사회복지사협회 정책협약식
- 2025년 05월 19일 10시30분 전국돌봄서비스노동조합 전북지부 정책협약식
- 2025년 05월 16일 18시 이재명 후보 전북 방문 정읍시 정읍역 앞 유세 현장
- 2025년 05월 16일 15시 이재명 후보 전북 방문 전주시 전북대 구)정문앞 유세 현장
10/30, 송영길 당대표 벼 병충해 피해 현장 방문
더불어민주당 송영길 당대표를 비롯, 김성주 전북도당위원장(전주시병), 이원택 의원(김제,부안), 안호영 의원(완주,진안,무주,장수) 등은 지난 10월 30일, 김제시와 완주군의 벼 병해충 피해현장을 방문했습니다.전라북도에 따르면 올해 벼 수확기에 긴 장마로 전북 벼재배면적의 114,509ha중 49,303ha가 이삭도열병, 세균벼알마름병, 깨시무늬병 등의 피해를 입었으며 이는 전체 재배면적은 43%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이 같은 피해 발생은 올 8월 중순부터 9월 초 벼 출수기에 유래없는 긴 가을장마가 원인인 것으로 농정당국은 분석하고 있으며 송영길 당대표는 '현장에 직접 와보니 피해 상황이 심각하다'면서 '벼 재해보험에 대한 제도개선, 이번 벼 병해충 농업재해 인정을 위해 정부 당국을 직접 설득하겠다'고 말했습니다.
- 2021-11-02 10:31:43
- 36조회
10/30, 송영길 당대표 벼 병충해 피해 현장 방문
더불어민주당 송영길 당대표를 비롯, 김성주 전북도당위원장(전주시병), 이원택 의원(김제,부안), 안호영 의원(완주,진안,무주,장수) 등은 지난 10월 30일, 김제시와 완주군의 벼 병해충 피해현장을 방문했습니다.전라북도에 따르면 올해 벼 수확기에 긴 장마로 전북 벼재배면적의 114,509ha중 49,303ha가 이삭도열병, 세균벼알마름병, 깨시무늬병 등의 피해를 입었으며 이는 전체 재배면적은 43%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이 같은 피해 발생은 올 8월 중순부터 9월 초 벼 출수기에 유래없는 긴 가을장마가 원인인 것으로 농정당국은 분석하고 있으며 송영길 당대표는 '현장에 직접 와보니 피해 상황이 심각하다'면서 '벼 재해보험에 대한 제도개선, 이번 벼 병해충 농업재해 인정을 위해 정부 당국을 직접 설득하겠다'고 말했습니다.
- 2021-11-02 10:31:43
- 36조회
10/30, 송영길 당대표 벼 병충해 피해 현장 방문
더불어민주당 송영길 당대표를 비롯, 김성주 전북도당위원장(전주시병), 이원택 의원(김제,부안), 안호영 의원(완주,진안,무주,장수) 등은 지난 10월 30일, 김제시와 완주군의 벼 병해충 피해현장을 방문했습니다.전라북도에 따르면 올해 벼 수확기에 긴 장마로 전북 벼재배면적의 114,509ha중 49,303ha가 이삭도열병, 세균벼알마름병, 깨시무늬병 등의 피해를 입었으며 이는 전체 재배면적은 43%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이 같은 피해 발생은 올 8월 중순부터 9월 초 벼 출수기에 유래없는 긴 가을장마가 원인인 것으로 농정당국은 분석하고 있으며 송영길 당대표는 '현장에 직접 와보니 피해 상황이 심각하다'면서 '벼 재해보험에 대한 제도개선, 이번 벼 병해충 농업재해 인정을 위해 정부 당국을 직접 설득하겠다'고 말했습니다.
- 2021-11-02 10:31:43
- 36조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