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2025년 04월 28일(월) 오후14시 민주노총 전북본부 간담회 개최
- 2025년 04월 28일(월) 오전11시30분 국립농수산대학교 총학생회 간담회 개최
- 2025년 04월 28일(월) 오전10시30분 전북특별자치도 지역아동센터 간담회 개최
- 2025년 04월 27일(일) 오후 13시 30분 조계종·태고종 등 전북 불교계 지도자 예방
- 2025년 04월 25일(금) 오후 14시 전북여성단체연합회 간담회 개최
- 2025년 04월 25일(금) 오후 13시 전북특별자치도 장애인정책포럼 간담회 개최
- 2025년 04월 25일(금) 오전10시30분 보훈단체협의회 전북특별자치도지부 간담회 개최
- 2025년 04월 23일(수) 오후19시 전북건설단체연합회 간담회 개최
- 2025년 04월 23일(수) 오전 10시 30분 전북 농기계은행 선도농협 협의회 간담회 개최
- 2025년 04월 15일(화) 오후 14시 국민소통위원회 전북특별자치도당 온라인소통교육 실시
- 2025년 04월 21일(월) 오후 19시 전북의료기사연합회 간담회
- 2025년 04월 21일(월) 오후 17시 원불교 전북교구 예방
- 2025년 04월 21일(월) 오후 15시 30분 전북사회적기업협의회 간담회 개최
- 2025년 04월 21일(월) 오후 14시 한국농어촌민박협회 전북도지회 간담회 개최
- 2025년 04월 21일(월) 오후 13시 전북국악단체대표 간담회 개최
- 2025년 04월 19일(수) 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당 탄핵보고 및 민생회복 결의 대회 개최
- 2025년 04월 18일(금) 오후 17시 30분 한국노총전북지회 간담회 개최
- 2025년 04월 18일(금) 오후 16시 전북도당 홍보소통위원회 간담회 개최
- 2025년 04월 18일(금) 오후 15시 전북슈퍼마켓협동조합 간담회 개최
10/30, 송영길 당대표 벼 병충해 피해 현장 방문
더불어민주당 송영길 당대표를 비롯, 김성주 전북도당위원장(전주시병), 이원택 의원(김제,부안), 안호영 의원(완주,진안,무주,장수) 등은 지난 10월 30일, 김제시와 완주군의 벼 병해충 피해현장을 방문했습니다.전라북도에 따르면 올해 벼 수확기에 긴 장마로 전북 벼재배면적의 114,509ha중 49,303ha가 이삭도열병, 세균벼알마름병, 깨시무늬병 등의 피해를 입었으며 이는 전체 재배면적은 43%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이 같은 피해 발생은 올 8월 중순부터 9월 초 벼 출수기에 유래없는 긴 가을장마가 원인인 것으로 농정당국은 분석하고 있으며 송영길 당대표는 '현장에 직접 와보니 피해 상황이 심각하다'면서 '벼 재해보험에 대한 제도개선, 이번 벼 병해충 농업재해 인정을 위해 정부 당국을 직접 설득하겠다'고 말했습니다.
- 2021-11-02 10:31:43
- 36조회
10/30, 송영길 당대표 벼 병충해 피해 현장 방문
더불어민주당 송영길 당대표를 비롯, 김성주 전북도당위원장(전주시병), 이원택 의원(김제,부안), 안호영 의원(완주,진안,무주,장수) 등은 지난 10월 30일, 김제시와 완주군의 벼 병해충 피해현장을 방문했습니다.전라북도에 따르면 올해 벼 수확기에 긴 장마로 전북 벼재배면적의 114,509ha중 49,303ha가 이삭도열병, 세균벼알마름병, 깨시무늬병 등의 피해를 입었으며 이는 전체 재배면적은 43%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이 같은 피해 발생은 올 8월 중순부터 9월 초 벼 출수기에 유래없는 긴 가을장마가 원인인 것으로 농정당국은 분석하고 있으며 송영길 당대표는 '현장에 직접 와보니 피해 상황이 심각하다'면서 '벼 재해보험에 대한 제도개선, 이번 벼 병해충 농업재해 인정을 위해 정부 당국을 직접 설득하겠다'고 말했습니다.
- 2021-11-02 10:31:43
- 36조회
10/30, 송영길 당대표 벼 병충해 피해 현장 방문
더불어민주당 송영길 당대표를 비롯, 김성주 전북도당위원장(전주시병), 이원택 의원(김제,부안), 안호영 의원(완주,진안,무주,장수) 등은 지난 10월 30일, 김제시와 완주군의 벼 병해충 피해현장을 방문했습니다.전라북도에 따르면 올해 벼 수확기에 긴 장마로 전북 벼재배면적의 114,509ha중 49,303ha가 이삭도열병, 세균벼알마름병, 깨시무늬병 등의 피해를 입었으며 이는 전체 재배면적은 43%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이 같은 피해 발생은 올 8월 중순부터 9월 초 벼 출수기에 유래없는 긴 가을장마가 원인인 것으로 농정당국은 분석하고 있으며 송영길 당대표는 '현장에 직접 와보니 피해 상황이 심각하다'면서 '벼 재해보험에 대한 제도개선, 이번 벼 병해충 농업재해 인정을 위해 정부 당국을 직접 설득하겠다'고 말했습니다.
- 2021-11-02 10:31:43
- 36조회